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조별리그 1조&2조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의 조별 라운드의 진행 상황 중, 1조와 2조에 대해 정리하는 페이지.

1. 1조
1.1. 1경기 프랑스 4 vs 1 멕시코
1.2. 2경기 아르헨티나 1 vs 0 프랑스
1.3. 3경기 칠레 3 vs 0 멕시코
1.4. 4경기 칠레 1 vs 0 프랑스
1.5. 5경기 아르헨티나 6 vs 3 멕시코
1.6. 6경기 아르헨티나 3 vs 1 칠레
2. 2조
3. 4강 진출팀


1. 1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300104+66
2파일:칠레 국기.svg칠레20153+24
3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프랑스10243+12
4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003413-90
토너먼트 진출 | 탈락

시드 배정국: 아르헨티나


1.1. 1경기 프랑스 4 vs 1 멕시코[편집]


경기장에스타디오 포시토스
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경기일[1]1930년 7월 13일 15:00
(1930년 7월 14일 03:30)
주 심도밍고 롬바르디 (우루과이)
국 가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득 점41
득점자뤼시앵 로랑 (19')
마르셀 랑질리 (40')
앙드레 마쉬노 (43', 87')
후안 카레뇨 (70')

라인업 이름 비고 라인업 이름 비고
선발알렉스 테포GK 24'선발오스카 본필리오GK
마르셀 카펠레라파엘 가르사 구티에레스파일:주장 아이콘.svg
에티엔 마틀레르마누엘 로사스
마르셀 피넬알프레도 산체스
알렉상드르 빌라플란파일:주장 아이콘.svg에프라인 아메스콰
오귀스탱 샹트렐펠리페 로사스
뤼시앵 로랑파일:득점 아이콘.svg디오니시오 메히아
마르셀 랑질리파일:득점 아이콘.svg루이스 페레스
앙드레 마쉬노파일:득점 아이콘.svg 파일:득점 아이콘.svg일라리오 로페스
에드몽 델푸르호세 루이스
에르네스트 리베라티후안 카레뇨파일:득점 아이콘.svg
교체앙드레 타생GK교체이시도로 소타GK
뉘마 앙드와프란시스코 가르사 구티에레스
셀레스탱 델메르라이문도 로드리게스
장 로랑로베르토 가욘
에밀 베낭트펠리페 올리바레스
헤수스 카스트로

역사적인 월드컵 초대 대회의 첫 경기. 몬테비데오포시토스 경기장에서 치러졌으며 월드컵의 아버지인 쥘 리메의 노고를 기리는 뜻으로 우루과이가 프랑스에게 스타트를 넘겨주었다.[2] 그리고 19분에 역사적인 월드컵의 첫 골이 터졌고, 그 골의 주인공은 프랑스의 공격수 뤼시앵 로랑이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ucien_Laurent.jpg
뤼시앵 로랑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월드컵 최초의 부상자도 나오게 되는데 그 주인공은 프랑스 골키퍼 알렉스 테포였다. 전반 24분에 멕시코의 공격수 메히아와 충돌하여 부상을 입은 것이다.[3] 당시에는 선수 교체라는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4] 테포의 자리를 누군가가 대신 메워줘야했고 그 자리는 라이트 하프백[5]이였던 오귀스탱 샹트렐이 맡았다. 그리고 오늘날의 선수 교체와는 조금 다르지만 이것이 월드컵 최초의 선수 교체에 대한 기록이다.[6] 어떻게 봐도 멕시코가 유리한 조건이었지만 경기는 프랑스가 4대1로 이겼다.


1.2. 2경기 아르헨티나 1 vs 0 프랑스[편집]


경기장에스타디오 그란 파르케 센트랄
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경기일1930년 7월 15일 16:00
(1930년 7월 16일 04:30)
주 심REGO Gilberto (브라질)
국 가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득 점10
득점자루이스 몬티 (81')

라인업 이름 비고 라인업 이름 비고
선발앙헬 보시오GK선발알렉스 테포GK
라몬 무티스마르셀 카펠레
호세 델라토레에티엔 마틀레르
루이스 몬티파일:득점 아이콘.svg마르셀 피넬
페드로 수아레스알렉상드르 빌라플란파일:주장 아이콘.svg
후안 에바리스토오귀스탱 샹트렐
나탈리오 페리네티뤼시앵 로랑 '2
로베르토 체로마르셀 랑질리
마누엘 페레이라파일:주장 아이콘.svg앙드레 마쉬노
마리오 에바리스토에드몽 델푸르
프란시스코 바라요에르네스트 리베라티
교체후안 보타소GK교체앙드레 타생GK
알베르토 치비디니뉘마 앙드와
에드문도 피아조셀레스탱 델메르
페르난도 파테르노스테르장 로랑
로돌포 오를란디니에밀 베낭트
아돌포 수멜수
기예르모 스타빌레
아틸리오 데마리아
알레한드로 스코펠리
카를로스 스파다로
카를로스 페우셀레


월드컵 역사상 현재까지 거의 유일한 눈 내리는 경기장에서의 시합이었다. 월드컵에서 눈 내리는 경기장을 거의 볼 수 없는 이유는 월드컵은 지금까지 단 두 번을 제외하고[7] 6월에서 7월쯤 개최하기 때문이다. 이때 북반구에서 개최했을 때는 당연히 눈이 오지 않고(남반구와 북반구의 계절이 서로 반대로 적용하기 때문. 반대로 이걸 북반구에 대입하면 폭우 속에서 치른 것이나 마찬가지) 그렇다고 해서 남반구에서 눈이 무조건 오는 것도 아닌 것이 지금까지 월드컵을 개최한 남반구 나라들은 우루과이,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남아공 딱 5개밖에 없었다. 이 5개의 나라 중 먼저 남아공과 브라질은 비교적 따뜻하므로 눈을 보기가 어렵고 아르헨티나 월드컵은 눈이 많이 내리는 7월이나 8월이 아닌 6월초에 시작해서 6월 25일에 끝났고 칠레 월드컵 역시 5월 30일에 시작해서 6월 중순에 끝났다. 아르헨티나나 칠레도 이 정도면 늦가을~초겨울 정도의 계절이므로 눈이 내리기도 힘들다. 따라서 지역적으로도 다소 추운 쪽에 속하고 7월 중순에 월드컵을 치른 1930년 우루과이 대회에서 거의 유일하게 눈 내리는 월드컵 경기가 나올 수 있게 되었다.

프랑스의 순조로운 출발을 막은 팀이 바로 아르헨티나였다. 아르헨티나의 루이스 몬티는 월드컵 첫 골의 주인공 뤼시앵 로랑에게 전반 2분 만에 발목 부상을 입혀 경기장 바깥으로 내쫓았다. 이런 식으로 몬티는 프랑스 진영을 헤집고 다녔다. 게다가 81분에 프리킥으로 결승골까지 넣는 10점짜리 활약을 선보였다.
여기에서 브라질 출신 심판 아우메이다의 실수가 하나 터지는데, 경기를 6분 일찍 끝내버린 것이다. 프랑스 선수들의 격렬한 항의 끝에 심판은 경기를 재개했고 선수들 중에는 샤워를 하다 말고 다시 끌려나온 선수도 있었다. 하지만 그래도 결과는 바뀌지 않았다.


1.3. 3경기 칠레 3 vs 0 멕시코[편집]


경기장에스타디오 그란 파르케 센트랄
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경기일1930년 7월 16일 14:45
(1930년 7월 17일 03:15)
주 심CRISTOPHE Henry (벨기에)
국 가칠레
파일:칠레 국기.svg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득 점30
득점자카를로스 비달 (3', 65')
마누엘 로사스 (51')(O.G)

라인업 이름 비고 라인업 이름 비고
선발로베르토 코르테스GK선발이시도로 소타GK
빅토르 모랄레스 '85라파엘 가르사 구티에레스파일:주장 아이콘.svg
울리세스 포이리에르마누엘 로사스파일:OwnGoal.jpg
기예르모 사베드라알프레도 산체스
아르투로 토레스에프라인 아메스콰
움베르토 엘게타펠리페 로사스
기예르모 수비아브레로베르토 가욘
에베라르도 비야로보스루이스 페레스
카를로스 비달파일:득점 아이콘.svg 파일:득점 아이콘.svg일라리오 로페스
카를로스 슈니베르거파일:주장 아이콘.svg호세 루이스
토마스 오헤다후안 카레뇨
교체세자르 에스피노사GK교체오스카 본필리오GK
기예르모 리베로스프란시스코 가르사 구티에레스
에르네스토 차파로라이문도 로드리게스
카시미로 토레스디오니시오 메히아
기예르모 아레야노[* 코파 아메리카 득점왕 출신 다비드 아레야노의 동생]펠리페 올리바레스
아르투로 코도우헤수스 카스트로
오라시오 무뇨스
후안 아길레라

멕시코칠레를 상대로 복수혈전을 노렸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다. 칠레의 공격수 카를로스 비달에게 시작한 지 3분 만에 골을 먹히고 후반 7분에는 수비수 로사스의 자책골[8]까지 겹치면서 전의 상실. 65분에 비달에게 다시 한 골을 먹히면서 멕시코의 꿈과 희망은 사라지고 말았다.


1.4. 4경기 칠레 1 vs 0 프랑스[편집]


경기장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경기일1930년 7월 19일 12:50
(1930년 7월 20일 01:20)
주 심TEJADA Anibal (우루과이)
국 가칠레
파일:칠레 국기.svg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득 점10
득점자기예르모 수비아브레 (65')

라인업 이름 비고 라인업 이름 비고
선발로베르토 코르테스GK선발알렉스 테포GK
기예르모 리베로스마르셀 카펠레
에르네스토 차파로에티엔 마틀레르
기예르모 사베드라마르셀 피넬
아르투로 토레스알렉상드르 빌라플란파일:주장 아이콘.svg
카시미로 토레스오귀스탱 샹트렐
기예르모 수비아브레파일:득점 아이콘.svg마르셀 랑질리
에베라르도 비야로보스셀레스탱 델메르
카를로스 비달에드몽 델푸르
카를로스 슈니베르거파일:주장 아이콘.svg에르네스트 리베라티
토마스 오헤다에밀 베낭트
교체세자르 에스피노사GK교체앙드레 타생GK
빅토르 모랄레스뉘마 앙드와
울리세스 포이리에르뤼시앵 로랑
움베르토 엘게타앙드레 마쉬노
기예르모 아레야노장 로랑
아르투로 코도우
오라시오 무뇨스
후안 아길레라

프랑스는 이틀 사이에 2경기를 연속으로 치른데다가[9] 아르헨티나에게 패배하여 분위기가 영 좋지 않았다. 반면 상대인 칠레멕시코를 이전 경기에서 3대0으로 이긴 터라 분위기가 프랑스와 정반대였다. 프랑스는 골키퍼 테포가 전반 30분에 사베드라의 페널티 킥을 막아내며 기세를 올렸지만 후반 22분, 칠레의 수비아브레에게 헤딩 결승골을 내주고 결국 패배하고 말았다.


1.5. 5경기 아르헨티나 6 vs 3 멕시코[편집]


경기장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경기일1930년 7월 19일 15:00
(1930년 7월 20일 03:30)
주 심SAUCEDO Ulises (볼리비아)
국 가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득 점63
득점자기예르모 스타빌레 (8', 17', 80')
아돌포 수멜수 (12', 55')
프란시스코 바라요 (53')
마누엘 로사스 (42', 65')[10]
로베르토 가욘 (75')

라인업 이름 비고 라인업 이름 비고
선발앙헬 보시오GK 파일:주장 아이콘.svg선발오스카 본필리오GK
페르난도 파테르노스테르라파엘 가르사 구티에레스파일:주장 아이콘.svg
호세 델라토레마누엘 로사스파일:PKGoal.jpg 파일:득점 아이콘.svg
로돌포 오를란디니프란시스코 가르사 구티에레스
아돌포 수멜수파일:득점 아이콘.svg 파일:득점 아이콘.svg라이문도 로드리게스
알베르토 치비디니알프레도 산체스
기예르모 스타빌레파일:득점 아이콘.svg 파일:득점 아이콘.svg 파일:득점 아이콘.svg펠리페 로사스
아틸리오 데마리아로베르토 가욘파일:득점 아이콘.svg
카를로스 스파다로일라리오 로페스
카를로스 페우셀레펠리페 올리바레스
프란시스코 바라요파일:득점 아이콘.svg후안 카레뇨
교체후안 보타소GK교체이시도로 소타GK
라몬 무티스에프라인 아메스콰
에드문도 피아조디오니시오 메히아
루이스 몬티루이스 페레스
페드로 수아레스헤수스 카스트로
후안 에바리스토호세 루이스
나탈리오 페리네티
로베르토 체로
마누엘 페레이라
마리오 에바리스토
알레한드로 스코펠리

아르헨티나의 상황을 보면 당시 주장이었던 마누엘 페레이라가 갑자기 고국으로 돌아가 버렸는데 그 이유는 대학교 법과 시험 때문이었다. 게다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또 다른 스트라이커 로베르토 체로가 불안발작증세로 경기를 뛸 수 없었고 또 다른 공격수 마리오 에바리스토[11]는 부상이 채 낫지 않아 뛸 수 없는 상황이 되자 아르헨티나의 감독 올라사르는 후보 선수 중 대표 경험이 전무한 기예르모 스타빌레에게 아르헨티나의 공격을 맡기는 모험을 한다.
그런데 이것이 대박!!! 스타빌레는 데뷔전인 멕시코전에서 해트트릭[12]을 터뜨리며 아르헨티나에게 승리를 안긴다. 페레이라, 체로, 몬티가 없어도 아르헨티나는 강했다. 멕시코의 골키퍼 본필리오가 아르헨티나의 파테르노스테르페널티 킥을 막아냈지만 혼자서는 역부족이었다. 마누엘 로사스는 후반 27분에 다시 페널티 킥을 찼지만 이번에는 보시오 골키퍼에게 막혔다.

이렇게 멕시코는 조별리그 3경기 모두 대량실점 패배(-4, -3, -6)라는 치욕스러운 성적으로 조꼴찌 탈락했다.

1.6. 6경기 아르헨티나 3 vs 1 칠레[편집]


경기장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경기일1930년 7월 22일 14:45
(1930년 7월 23일 03:15)
주 심LANGENUS Jean (벨기에)
국 가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칠레
파일:칠레 국기.svg
득 점31
득점자기예르모 스타빌레 (12', 13')
마리오 에바리스토 (51')
기예르모 수비아브레 (15')

라인업 이름 비고 라인업 이름 비고
선발앙헬 보시오GK선발로베르토 코르테스GK
페르난도 파테르노스테르빅토르 모랄레스
호세 델라토레에르네스토 차파로
로돌포 오를란디니기예르모 사베드라
루이스 몬티아르투로 토레스
후안 에바리스토카시미로 토레스
기예르모 스타빌레파일:득점 아이콘.svg 파일:득점 아이콘.svg기예르모 수비아브레파일:주장 아이콘.svg 파일:득점 아이콘.svg
마누엘 페레이라파일:주장 아이콘.svg기예르모 아레야노
마리오 에바리스토파일:득점 아이콘.svg에베야르도 비야로보스
카를로스 페우셀레카를로스 비달
프란시스코 바라요후안 아길레라
교체후안 보타소GK교체세자르 에스피노사GK
라몬 무티스기예르모 리베로스
알베르토 치비디니울리세스 포이리에르
에드문도 피아조움베르토 엘게타
아돌포 수멜수카를로스 슈니베르거
페드로 수아레스아르투로 코도우
나탈리오 페리네티오라시오 무뇨스
로베르토 체로토마스 오헤다
아틸리오 데마리아
알레한드로 스코펠리
카를로스 스파다로

페레이라가 시험을 마치고 무사히 귀국했다. 이러면 전 경기에서 해트 트릭을 기록했던 스타빌레와 함께 위력을 시험해보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 체로는 아직 발작이 낫지 않았으니 제끼고.. 마리오 에바리스토는 부상이 좀 괜찮아졌으니 써보기로 할까.. 여기에서 스타빌레는 2골을 넣어 자신의 해트 트릭이 뽀록이 아니었음을 증명했다. 에바리스토는 아직 부상이 남아있는 몸으로 골을 넣어 굉장한 투혼을 과시했다.
그리고 여기에서 루이스 몬티칠레의 수비수 아르투로 토레스를 걷어찼다.[13] 그로 인해 경기는 심각하게 거칠어졌고 아예 그라운드에서 패싸움을 하는 단계까지 이르고 말았다. 이 패싸움은 경찰이 와서 진정시키기까지 30분 가량 계속되었다. 월드컵 역사상 최초의 난투극이 일어난 경기로 기록되었다.


2. 2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유고슬라비아20061+54
2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브라질10152+32
3파일:볼리비아 국기.svg볼리비아00208-80
토너먼트 진출 | 탈락

시드 배정국: 브라질


2.1. 1경기 유고슬라비아 2 vs 1 브라질[편집]


경기장에스타디오 그란 파르케 센트랄
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경기일1930년 7월 14일 12:45
(1930년 7월 15일 01:15)
주 심TEJADA Anibal (우루과이)
국 가유고슬라비아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브라질[14]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득 점21
득점자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21')
이반 베크 (30')
프레기뉴 (75')

라인업 이름 비고 라인업 이름 비고
선발밀로반 약시치GK선발조에우GK
드라고슬라프 미하일로비치브릴련치
밀루틴 이브코비치파일:주장 아이콘.svg이탈리아
류비사 스테파노비치에르모지니스
몸실로 조키치파우스투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페르난두 주디첼리
브라니슬라프 세쿨리치닐루
블라고예 마르야노비치아라킨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파일:득점 아이콘.svg테오필루
이반 베크파일:득점 아이콘.svg폴리
조르제 부야디노비치프레기뉴파일:주장 아이콘.svg 파일:득점 아이콘.svg
교체밀란 스토야노비치GK교체벨로주GK
드라고미르 토시치베니베누투*
테오필로 스파소예비치오스카리누
드라구틴 나이다노비치제 루이스
브라니슬라프 흐르니체크이방 마리스
블라스티미르 페트코비치[15]팡플로나
포르치스
두카*
마누에우지뉴
모지라투
베네직투
카르발류 레이치
후시뉴

당시 브라질은 2조에서 시드 배정을 받았다. 시드를 받은 만큼 진출할 확률이 높아보였는데 웬걸.. 전반에만 2골을 먼저 먹히는 무기력한 경기를 펼치다 2대 1로 패배하고 말았다. 당시에도 브라질은 남미에서 나름 강호로 명성을 떨치고 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유럽을 뛰어넘는 세계 최강팀의 위상은 아니었다. 애초에 이 당시 남미에서 세계최강은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이지 브라질은 아니었다. 이 당시 브라질은 그저 볼리비아보다 조금 잘하는 수준에 불과했다. 실력대로 보자면 2020년대의 칠레 느낌이 나는 수준이 당시의 브라질이었다.

더구나 이 대회 당시에는 선수단 내부에서의 갈등이 꽤 심각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브라질 초기의 슈퍼스타였던 아르투르 프리덴라이히상파울루 주 리그 내의 갈등으로 아예 월드컵에 참가조차 하지 못했으며, 나머지 선수들도 히우 파와 상파울루 파로 나뉘어 사이가 좋지 않았다. 결국 아무리 유고슬라비아가 장거리 여행이라는 핸디캡을 가지고 있었다고 해도 내분이 일어난 팀을 이기지 못하는 것은 아니었다.


2.2. 2경기 유고슬라비아 4 vs 0 볼리비아[편집]


경기장에스타디오 그란 파르케 센트랄
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경기일1930년 7월 17일 12:45
(1930년 7월 18일 01:15)
주 심MATEUCCI Francisco (우루과이)
국 가유고슬라비아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Old Bolivia Flag.png
득 점40
득점자이반 베크 (60', 67')
블라고예 마르야노비치 (65')
조르제 부야디노비치 (85')

라인업 이름 비고 라인업 이름 비고
선발밀로반 약시치GK선발헤수스 베르무데스GK
드라고슬라프 미하일로비치세군도 듀란달
밀루틴 이브코비치파일:주장 아이콘.svg카시아노 차바리아
류비사 스테파노비치디오헤네스 라라
몸실로 조키치[16]호르헤 발데라마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호르헤 아르고테
드라구틴 나이다노비치구메르신도 고메스 8'
블라고예 마르야노비치파일:득점 아이콘.svg라파엘 멘데스파일:주장 아이콘.svg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르네 페르난데스
이반 베크파일:득점 아이콘.svg 파일:득점 아이콘.svg마리오 알보르타
조르제 부야디노비치파일:득점 아이콘.svg호세 부스타만테
교체밀란 스토야노비치GK교체미겔 무리요GK
드라고미르 토시치루이스 레예스 페냐란다
테오필로 스파소예비치레나토 사인스
브라니슬라프 세쿨리치미겔 브리토
브라니슬라프 흐르니체크호세 노야
블라스티미르 페트코비치에두아르도 레예스 오티스

난적 브라질을 꺾고 사기충천한 유고슬라비아. 게다가 볼리비아는 월드컵 이전의 A매치에서 단 한 번도 이겨본 적이 없는 당시 남미 최약체 팀이었다.[17]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볼리비아에 불운이 찾아왔다. 전반 8분[18], 아웃사이드 라이트 구메르신도 고메스가 유고슬라비아의 수비수 밀루틴 이브코비치와 충돌하면서 다리가 부러지는 큰 부상을 입었고 이 때문에 볼리비아는 선수 1명이 부족해지는 불리한 상황이 일어나고 말았다. 결과가 더욱 뻔해졌지만 볼리비아는 생각보다 잘 버텨내며 후반 15분까지 0대0의 균형을 맞추었다. 하지만 결국 이반 베크에게 골을 허용하자 힘이 다하고 말았다. 그 이후에는 유고슬라비아의 골 폭풍. 4대0으로 승리를 거둔 유고슬라비아는 준결승 진출을 확정지었다. 게다가 볼리비아는 멀쩡한 득점을 도둑맞는 또 다른 불운까지 겪었다.


2.3. 3경기 브라질 4 vs 0 볼리비아[편집]


경기장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경기일1930년 7월 20일 13:00
(1930년 7월 21일 01:30)
주 심BALWAY Thomas (프랑스)
국 가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볼리비아[19]
파일:Old Bolivia Flag.png
득 점40
득점자모지라투 (37', 73')
프레기뉴 (67', 83')

라인업 이름 비고 라인업 이름 비고
선발벨로주GK선발헤수스 베르무데스GK
이탈리아세군도 듀란달
제 루이스카시아노 차바리아
에르모지니스디오헤네스 라라
파우스투레나토 사인스
페르난두 주디첼리호르헤 발데라마
모지라투파일:득점 아이콘.svg 파일:득점 아이콘.svg라파엘 멘데스파일:주장 아이콘.svg
베네직투르네 페르난데스
카르발류 레이치마리오 알보르타
프레기뉴파일:주장 아이콘.svg 파일:득점 아이콘.svg 파일:득점 아이콘.svg에두아르도 레예스 오티스
후시뉴호세 부스타만테
교체조에우GK교체미겔 무리요GK
베니베누투루이스 레예스 페냐란다
브릴련치미겔 브리토
오스카리누호르헤 아르고테
이방 마리스호세 노야
팡플로나구메르신도 고메스
포르치스
닐루
두카
마누에우지뉴
아라킨
테오필루
폴리

한 마디로 정리하면 종로에서 뺨맞고 한강에서 화풀이. 브라질이 4강 실패 확정되었다고 해도 페루를 제외하면 모든 A매치 상대에게 5골차 이상은 벌어졌던 실점자판기 전투력 측정기 볼리비아를 상대로 득점이라도 많이 터뜨리자는 각오로 나왔고, 그렇게 4대0으로 볼리비아를 물리치며 초대월드컵 첫 승과 월드컵 최종 6위로 마쳤다.


3. 4강 진출팀[편집]


1조 1위 : 아르헨티나
2조 1위 : 유고슬라비아[20]

이후 정보는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4강, 결승에서 기재.
[1] 괄호안은 한국시간[2] 같은 시각 4조에서도 미국벨기에파르케 센트랄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렀다. 하지만 1조 프리미엄으로 월드컵의 스타트는 이 경기로 흔히 이야기한다.[3] 초기의 축구에는 축구 선수들이 대부분 발끝으로 공을 찼었다. 그래서 축구화 앞에 강철로 된 코를 붙인 축구화가 많았다. 물론 월드컵이 열리던 시절이 그 정도로 옛날은 아니지만 축구화가 무거운 것에는 변함이 없어서 한 짝에 500g이 넘었다.(현재의 축구화 무게는 아무리 싸구려라도 250g 정도이고 정말 가벼운 것은 150g정도밖에 안 나간다) 그걸로 턱을 맞았으니.. 게다가 테포는 당시 유럽 정상급의 골키퍼였다.[4] 부상당했으면 부상당한 채로 뛰고 뛸 수 없을 정도의 심각한 부상이면 그냥 선수가 없는 대로 뛰어야했다. 선수 교체가 처음으로 도입된 월드컵은 1970년 멕시코 월드컵이다.[5] 오늘날의 위치라면 미드필더의 자리이다. 하지만 당시에는 미드필더라는 개념이 없었고 이 자리의 선수는 대부분 수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6] 여담으로 현대적인 선수 교체는 1965년에 처음 시작되었으며 찰턴 애슬레틱 FC의 키스 피콕이 최초의 교체 선수로 알려져 있다.[7] 2002년 월드컵때는 장마 문제로 5월부터 6월까지 했고, 2022년 월드컵은 더위 문제로 11월부터 12월까지 월드컵을 한다.[8] FIFA 월드컵 역사상 첫번째 자책골이다.[9] 현재는 한 번 공식 경기를 뛴 축구 선수는 48시간 이내에 다른 공식 경기를 치르지 못하게 되어있어서 이런 식으로 다음 경기를 치를 수 없다.[10] 전반 42분의 골은 페널티 킥이다.[11] 형 후안 역시 아르헨티나 대표팀에서 하프백으로 활약하였다.[12] 2006년 이전의 월드컵 기록을 보면 스타빌레가 월드컵 최초의 해트트릭 기록자로 되어있다. 하지만 미국버트 파테노드의 득점이 한 점 누락된 것을 발견했다는 미국의 제안을 받아들여 현재는 파테노드가 최초의 해트트릭을 기록한 선수로 기록되어있다.[13] 이런 투지 넘치는 선수들의 특징 중 하나는 가끔 자신이 반칙했다는 사실을 망각하고 자기가 파울해놓고 더 난리를 치는 경우가 있다. 몬티가 그런 경우였다.[14] *표가 붙은 베니베누투와 두카는 자리가 부족하여 22인 출전명단에 이름을 올릴 수 없었다. 하지만 피파 보고서에는 이름이 올라가 있어 기재하였다.[15] 피파 공식보고서와 RSSSF 문서에는 페트코비치가 위키피디아에는 두샨 마르코비치가 출전했다고 올라와있다. 하지만 페트코비치에 대한 다른 문서는 거의 없다.[16] 후반전에 부상으로 교체되었다.[17] 1927년의 페루와의 시합에서 3대2로 진 것을 제외하면 코파 아메리카 등 이전의 모든 A매치에서 최소한 5골 차 이상으로 패배했다.[18] 후반 15분이라는 기록도 있다.[19] 당시 브라질과 유니폼 색깔이 흰색으로 같았기 때문에 우루과이의 유니폼을 빌렸다.[20] 1930년 월드컵에 참가했던 유럽팀 4팀 중 유일하게 4강에 올라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7:09:02에 나무위키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조별리그 1조&2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